반응형


토요일 점심피크는 콜을 골라타기가 어려웠다.
특히나 첫 콜을 잡는 것이 너무도 어려웠다.
40분을 헤메다가 겨우 첫 배차를 받았다.
피크금액으로 단건 배달을 하면 나쁘진 않았지만, 그건 콜이 계속 이어질 때 이야기다.
경험해보니, 단가보다 얼마나 이어지게 일을 하느냐가 그 날의 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점심 피크 인데, 콜사가 한참을 이어졌다.
첫 40분도 날렸는데, 30분의 콜사로 1시간여가 날아가버렸다.
지금이 가을 비수기의 주말이라 그런건지 콜이 너무 없는 것 같았다.
내가 가면 불이 꺼지는 마법같은 현상은 나에게만 일어나는 것인지.

피크 시간 마지막 5분 전에 멀티콜을 받아서 신나했는데, 시스템이 오류가 난 건지 금액이 비피크금액으로 나왔다.
고객센터에 전화해보니, 이것은 협력사 소관이기 때문에 자기들이 처리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전에도 비슷한 일이 있어 대표한테 연락하니, 콜센터 욕만 하면서 자기가 알아보겠다고 하고 결과는 없던 적이 몇 번 있었다.
서로 책임만 떠 넘기면 피해를 본 우리는 어떻게 하냐구요?
이번에는 확실하게 대표에게 잘 이야기해봐야겠다.
원래 피크시간 안에만 잡으면 그 금액을 주는 게 맞다.
한번도 달랐던 적이 없는데, 피크 시간이 바뀐 것이 아니라면 뭔가 잘못된 게 맞다.
이번에는 제대로 된 보상이 나왔으면 좋겠다.

토요일 점심 피크부터 일을 시작하니, 저녁피크까지 계산하면 대략 2시간 정도만 넌피크시간이 된다.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피크타임의 금액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콜이 적은 것을 감안하더라도 금액적으로는 탈만하다는 생각이다.
비수기는 예외다.
비수기는 낮에 타면 쉽지가 않다.
가급적 밤을 노리는 것이 맞을 것 같고, 성수기 겨울은 겪어봐야 알 것 같다.
얼른 와라, 성수기야.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
반응형

3400원 기본 배달료로 받아 잘 가고 있는데, 중간에 경로 변경을 집어 넣는다.
아니 이 배달을 마무리하고 다음 배달로 연결해주면 둘 다 3400원짜리 콜을 받을 수 있는건데, 두 개를 2600원씩에 가라고 하면 가겠냐?
정말 어이가 없고 진짜 나쁘다는 생각이 든다.
아예 처음부터 2600원짜리 멀티콜로 잡았으면 하나 더 추가한다고 해서 무리되는 건 없다.
근데 이런 짓을 하는 것이다.
요새는 단건 콜을 잡으면 픽업할 때까지 신규 주문을 꺼놓는다.
이상한 짓은 아예 원천 차단해야 한다.
이런 짓을 당한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장거리나 단거리 상관없이 이런 중간 배차는 자주 이루어진다.
이것이 자신들의 이익에서 가장 남기 때문일 것이다.
기사에게는 수익을 깍는 요인이 된다.
추가로 배차 받는 것은 위치만 비슷할 뿐 조리시간은 맞지 않아 조리대기가 걸리는 경우까지 허다하니 기사에게 완전 손해다.

예전에는 경유지도 아니라 삥 돌아가야하는데도 배차하는 경우가 있어 어이가 없었다.
이런 경우, 가급적 많이 할 수 없는 취소를 여기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좀 너무하다 생각하는 건 굳이 멀티배달로 열심히 묶어서만 배차하려고 하는 것이다.
충분히 단건으로 뺄 수 있을 것 같은데도 굳이 묶는 경우가 많다.
지도 위치상 거리가 비슷하지 빙 돌아가야 하는 길도 묶는 경우가 많아 이럴 때 참 난감하다.
결과적으로 멀티배달을 자꾸 만들려고 하는 건 확신에 가깝다.
기사의 이득은 단건 배달을 많이 하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멀티배달의 단가를 올려야 한다.
픽업 배달, 픽업 배달의 순서를 픽업, 픽업, 배달, 배달로 바꾸기만 한 것으로 단가를 깍아버리는 것은 안된다.
좀 더 배달 기사의 입장도 생각해주는 플랫폼이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
반응형


나는 장거리배달을 선호한다.
특별히 내가 맡은 권역을 벗어난 권역 외 배달을 선호한다.
이곳에서 복귀콜을 받을지 알 수 없지만 그래도 선호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거리할증 외에 추가 프로모션 금액을 더 주기 때문이다.
보통 프로모션 2로 나오는데, 이 금액이 상당히 큰 편이다.
장거리를 주로 거절하지 않고 타서 그런 것 같다.
특히 권역 외로 나가거나 권역 외에서 들어오는 콜에는 이 금액이 항상 추가로 붙게 된다.
그만큼의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것이다.
같은 거리의 배달을 했을 때, 일반에 비해 20~30% 정도 많은 것 같다.
일반 금액이 6천 원이라면 플러스 권역 외는 8~9천 원 정도 되는 것 같다.
이래서 유배지로 보내더라도 즐겁게 타는 편이다.
돌아오는 거리를 생각하더라도 금액적으로는 매리트가 있다 생각된다.
전에 계산해 봤는데, 의정부 민락에서 청학동으로 권역외가 자주 떴는데, 대략 금액이 1만 원 가까이 되었다.
이 거리를 왕복하는데, 대략 20분 정도 소요되었다.
그렇다면 한 시간에 이 위치를 세 곳 받아 왕복하면 시급이 3만 원이나 되는 것이다.
상당히 괜찮은 거 아닌가?
이런 곳이 많으면 좋긴 하겠는데, 많지는 않다.
그래도 종종 이런 것들이 섞여 들어오면 그날의 수익률을 높여주어서 감사할 따름이다.
앞으로 이런 콜들이 비피크시간에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다.
특별히 왕복으로 주면 더욱 좋고.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