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크 시간 막차로 멀티 배달의 콜을 받았다.
쿠팡이츠 플러스의 경우, 거의 콜을 거절하지 않고 타기에 잡았다기 보다는 받았다는 표현이 맞는 것일 것이다.
어찌되었든 피크 시간에 콜을 받았기 때문에 수행 시간이 피크 시간을 지나더라도 해당 콜들은 피크시간의 금액을 적용받게 된다.
그러나 배달을 하다가 비슷한 경로에 배달이 있어 추가로 받게 된다면?
피크 시간의 배차를 하고 있으니, 피크 시간이 지났어도 이 콜은 함께 묶여서 트리플 배차로 되는 것은 아닐까?
기대하는 마음으로 트리플 배차 정산금을 기대했는데, 앞의 2건은 피크 시간의 요율을 적용받고, 나머지 한 건은 비피크시간의 금액으로 산정이 되었다.
에라이~
좀 기대하던 대로 기사에게 유리하게 적용해주면 안되나?
딱 선을 긋고 마지막 배달은 2600원으로 끊어버렸다.
8시 1분이라도 전에 콜을 잡으면 피크 타임으로 계산을 해주면서 추가로 배차를 맡기면서 싸게 후려치다니.
역시나 기업들은 기사들의 이익을 위해 고민해주지 않는다.


계속 고민이 되는 것이 있다.
단건으로 배차를 받았을 때, 추가 배차 콜이 울리면 이것을 잡아야 되느냐의 문제 말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한번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피크 시간의 금액이 좋기 때문에 가급적 단건콜을 계속 이어서 받고 싶다.
그러나 쿠팡은 어떻게 해서든 두 개 이상의 콜을 묶어 줄려고 한다.
이런 것은 묶으면 안되지 않을까하는 것까지 묶어서 주는 경우를 많이 봤기 때문이다.
방향이 일치해서 그 안에 배달하게 해주는데,추가 배차를 해주는 것이라면 모르지만 빙 돌아가야 하는 것을 추가배차랍시고 주면 정말 화가 난다.
그래놓고는 첫번째 배달지에서 두번째 배달지까지의 거리만 계산해서 거의 기본요금이 나오는 배달을 시킨다.
픽업지까지의 거리 금액은 이제는 금액산정에서 빠졌기때문에 기사에게 안 좋아지는 것이다.
이래서 일반 배민과 비교해서 두 건 배달이 플러스 임에도 금액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거절도 거의 안하고 전업으로 타주는데, 일반 배민보다도 못하다니 이건 너무하지 않은가?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
반응형

기상할증이 있던 날이다.
비가 대략 7시까지만 내린다고 되어있었는데, 말 그대로 7시가 되니 비가 멎기 시작하였다.
너무 아쉬울따름이었는데, 그 때 광고 팝업이 올라왔다.

===========

(광고) 1시간 최소 할증 1,000원 보장!!!
기간: 2024년 11월 16일 19:30 ~ 20:29까지
금액 : 최소 할증 1,000원 보장(기상할증 포함)
내용 : 위 기간동안 운행 주문 건당 할증 수수료 지급

본 메시지를 수신한 파트너님에게만 해당되며, 할증 금액은 배달파트너 앱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전에 유의하여 운행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쿠팡이츠 플러스에도 이 금액이 적용되는지 궁금했다.
나를 일반 쿠팡이츠 배달파트너로 알고 이런 팝업을 띄워준 건지 파악이 안되었다.
우선은 비가 오지 않는데도 할증이 1300원이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천원 할증이 맞는 것 같았다.
좋은 정책인 것 같다.

여기에 더해 8시부터 10시까지 우리 플러스 대표님이 자체 프로모션을 건다고 했다.
건당 1000원 프로모션.
오늘은 프로모션의 날이로구나~
8시부터 8시30분은 건당 2000원의 프로모션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분 좋은 시간이 될 것 같았다.
근데…
콜사라니…ㅜㅜ
먼 장거리 배달을 하고 왔는데, 콜사가 왔다.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
반응형

비가 내리고 있어 기상할증이 붙는 날이다.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데, 왠일로 피크시간에 1000원이나 추가해주나 싶었는데, 단가 칼질에 대한 보전지원금 300원과 원래의 기상할증 700원이 합쳐진 금액이었다. ㅠㅠ
이해할 수가 없는 부분이 왜 기상할증을 700원만 주느냐는 것이다.
일반 쿠팡이츠 배달파트너의 경우는 1000원을 주는데 말이다.
자신의 콜만을 우선적으로 거절없이 처리하는 기사들에게 역차별이라니…
최근에는 단가까지 칼질하며 플러스 기사들의 수입도 깍아서 일반과 차이가 거의 없는데 등급제와 비교하면 오히려 일반을 타는 것이 수입이 더 좋을 것으로 보여진다.


전업기사로서 평균적이라고 할 수 있는 주 200건(전 2주 400건)을 달성하고 수락율70%(플러스는 90%이다.)이상이면 매 수행 건마다 30%의 추가 리워드를 해준다.
그럼 기본 단가가 3000원이 아니라 3900원이 된다는 말이 된다.
칼질된 플러스 일반단가인 3400원과 비교해도 500원이나 많다는 소리다.
플러스의 우선배차의 이점은 아직 있는 상황이긴 하다.
그리고 골드 등급이 되면 배차를 더 안해준다는 의견도 종종 보인다.
예전에만 해도 설마 그럴까 싶었는데, 수익을 위해 기사의 급여를 깍는 모습을 보면 충분히 그럴수도 있을거란 생각도 든다.
시스템을 어떻게 짜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나중에 자기들은 안 그랬다고 발뺌하면 될 일이겠다.
그래서 쉽게 일반의 등급제로 이동하지 않고.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포화상태로 보이는 전업기사들을 더 끌어들이려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미 플러스로 충분히 전업기사들을 확보해놓았을텐데 어떤 것을 위해서 그러는 것일까?
돈을 더 줘가며 등급제를 만들어서 전업을 확보해서 무엇을 하려는 것일까?
수익을 최대로 하려는 기업이다보니, 분명 수익과 연결되어 있는 무언가 있을 것이다.
기사를 확보하여 할 수 있는 수익 최대화는 무엇일까?
가둔 물고기에 대한 단가칼질?
이것이 가장 그럴듯한 추측일 듯 보인다.
한번 기다려 보도록 하겠다.
어떤 미래가 등급제에 기다리고 있을지..

반응형
Posted by 천재희a :